글 - 허공에 쓴 편지
120, 쉽지않은 게 부부관계
虛手(허수)/곽문구
2007. 7. 29. 10:24
( 2004년 8월 06일 금요일 ) 만사를 복잡하다 여기면 끝도없이 꼬일 것만 같고 간단하게 여기면 아무것도 아닐 것 같은 세상사에 말을 안 할 뿐이지 제일 쉽지가 않은 것이 부부관계가 아닌가 싶습니다. 가정생활을 해 나가면서 부부간에있어 생겨난문제는 어느 한쪽이 포기하면 되는 이해관계가 아닌 서로 다른 환경에서 자라며 굳어진 사고의 차이 때문에 생겨난 것들이 대부분이라서 일상에서 부딪친 어떤 벽보다 두껍고 높게 느껴지곤 합니다.
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힘겨움을 표현하지 않고 살아왔던 이유는 앞으로도 숱하게 생겨날 문제들을 최소한 지난 날들 만큼이나 잘 해결할 수 있을까에 대한 확신이나 자신이 없기 때문입니다. 참으로 외람된 말 같지만 나는 평소에 내 자신의 무엇이 잘 못 되어있는지 조금은 알고 있습니다. 내 자신의 사고가 어떻게 잘 못 되어있음을 안다는 것은 일상에서 아내와 사이에 생겨난 벽을 잘 허물어뜨리며 살 수 있다는 뜻이기도 합니다.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 자신을 대단히 불행하다고 여기는 것은 이미 고정이 되어버린 사고를 고치는 일이 생각보다 쉽지가 않다는데 있습니다. 달리 표현하면 내 안에 있는 고집과 알량한 자존심이 내가 베풀 수 있는 아량의 한계를 자꾸만 옥죄고 있다는 뜻입니다.
어떤 벽이든 허물거나 뛰어넘을 자신이 있었다면 나는 이미 남들보다 더 솔직하게 내 자신을 들어 낼 수도 있었겠지만 아직도 그럴 자신이 생기지 않았기 때문에 그리 못한 채 긴장속에서 살고 있습니다.
세상사 대부분의 일들은 시작과 끝이 있게 마련이지만 가정사 부분에서 만큼은 시작만 있고 삶의 마지막에 가서야 매듭을 짓게 되는 것이라서 미래의 불확실성에 내 스스로가 자신 못하고 사는 이유이기도 합니다.
부부는 살아가면서 서로 닮아간다고 했듯이 함께 사는 날 수가 많아질 수록 이해와 포용하며 사는 방법도 깨닫게 되므로써 그때가 되면 지나온 나날들에 대한 허심탄회한 회고도 할 때가 있으리라 믿습니다. 그렇게 되기까지 앞으로 얼마의 시간이 더 필요할런지 모르겠으나 깨 부수고 넘는 일이 힘겹다면 그 이전에 부딪치지 않고 비켜 돌아가는 지혜라도 있으면 좋겠습니다. 더 욕심이 생긴다면 이런 생각을 나 혼자만이 아닌 아내도 함께 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. |